header
, menu
, button
, card
.menu
, .button
, .card
menu
내부의 item
, button
내부의 icon
.menu__item
, .button__icon
.button--disabled
, .menu__item--active
.block {}
.block__element {}
.block--modifier {}
<nav class="menu">
<ul class="menu__list">
<li class="menu__item menu__item--active">Home</li>
<li class="menu__item">About</li>
<li class="menu__item">Contact</li>
</ul>
</nav>
.menu {
background: #333;
padding: 10px;
}
.menu__list {
list-style: none;
display: flex;
}
.menu__item {
color: white;
padding: 10px;
}
.menu__item--active {
font-weight: bold;
text-decoration: underline;
}
전역적으로 사용되는 스타일 클래스와 충돌할 위험이 줄어듭니다.
클래스 구조가 명확해지므로 스타일 변경 및 추가가 쉬워집니다.
블록, 요소, 수정자를 조합하여 다양한 스타일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__element
나 -modifier
를 남발하지 마세요.1. 개요 본 글은 LVM의 스냅샷(snapshot) 기능으로 복구 지점 생성 → 파일 변경 → 스냅샷 병합(rollback) 과정을 실습합니다. 동일한…
https://youtu.be/ZcxB7akkDKs 1. 개요 두 개의 디스크(/dev/vdb, /dev/vdc)로 LVM을 구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VG/LV 확장 → ext4 축소(오프라인)까지 전체…
https://youtu.be/XYBR1ZFrV9s 1. 개요 parted를 사용해 새 디스크에 GPT 라벨 생성 → 파티션 생성(ext4/XFS) → 포맷/마운트 →…
https://youtu.be/yYV8RQKCFzA 1. 개요 이 문서는 fdisk를 사용해 MBR(DOS)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을 포맷·마운트, /etc/fstab에 등록했다가, 안전하게 해제·삭제하는 전…
1. 개요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디스크…
https://youtu.be/CNd1bJV4wGY 1. 개요 Windows Server를 새로 설치할 때의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Windows Server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