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에서 멋진 폰트를 사용하고 싶다면 Google Fonts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Google Fonts는 무료로 제공되며, CSS에 간단히 추가할 수 있어 많은 개발자들이 애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Google Fonts를 HTML과 CSS에 적용하는 방법을 두 가지 방식으로 소개하겠습니다.
<link>
태그를 사용한 적용 방법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HTML의 <head>
태그에 <link>
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link>
태그를 복사합니다.<head>
태그에 붙여넣습니다.아래는 Roboto
폰트를 적용하는 예제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Google Fonts 적용</title>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Roboto:wght@400;700&display=swap>" rel="stylesheet">
<style>
body {
font-family: 'Roboto', sans-serif;
}
</style>
</head>
<body>
<h1>구글 폰트 적용 완료!</h1>
</body>
</html>
📌 font-family: 'Roboto', sans-serif;
를 추가하면 글꼴이 적용됩니다!
이 방법은 브라우저에서 폰트를 빠르게 로드할 수 있어 가장 추천하는 방식입니다.
@import
를 사용한 적용 방법HTML <link>
대신 CSS 파일에서 @import
를 활용하여 Google Fonts를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import
를 이용하면 CSS 파일에서 직접 폰트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style.css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Roboto:wght@400;700&display=swap>');
body {
font-family: 'Roboto', sans-serif;
}
이 방법은 HTML 파일이 아닌 CSS 파일 내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link>
태그 방식보다 속도가 조금 느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Google Fonts에서는 폰트 굵기(weight)나 스타일(italic)도 조정할 수 있습니다.
font-weight
)h1 {
font-family: 'Roboto', sans-serif;
font-weight: 700; /* 굵은 글씨 */
}
font-style
)p {
font-family: 'Roboto', sans-serif;
font-style: italic; /* 기울임 */
}
📌 Google Fonts에서 여러 스타일을 선택해 적용하면 더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적용 방법 | 장점 | 단점 |
---|---|---|
<link> 태그 사용 | 속도가 빠르고 캐싱 최적화 가능 | HTML 코드에 추가 필요 |
@import 사용 | CSS 파일에서 관리 가능 |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음 |
✔ 속도를 고려한다면 <link>
태그 방식 추천!
✔ CSS 파일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싶다면 @import
방식도 가능!
1. 개요 본 글은 LVM의 스냅샷(snapshot) 기능으로 복구 지점 생성 → 파일 변경 → 스냅샷 병합(rollback) 과정을 실습합니다. 동일한…
https://youtu.be/ZcxB7akkDKs 1. 개요 두 개의 디스크(/dev/vdb, /dev/vdc)로 LVM을 구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VG/LV 확장 → ext4 축소(오프라인)까지 전체…
https://youtu.be/XYBR1ZFrV9s 1. 개요 parted를 사용해 새 디스크에 GPT 라벨 생성 → 파티션 생성(ext4/XFS) → 포맷/마운트 →…
https://youtu.be/yYV8RQKCFzA 1. 개요 이 문서는 fdisk를 사용해 MBR(DOS)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을 포맷·마운트, /etc/fstab에 등록했다가, 안전하게 해제·삭제하는 전…
1. 개요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디스크…
https://youtu.be/CNd1bJV4wGY 1. 개요 Windows Server를 새로 설치할 때의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Windows Server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