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mox는 다양한 스토리지 방식을 지원하며,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디스크 설정 방법과 각 방식의 특징을 설명합니다.
본 문서는 Proxmox 8.2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LVM은 여러 개의 물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 볼륨 그룹으로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디스크 확장이 용이하며, 유연한 파티션 관리가 가능합니다.
LVM의 확장된 기능으로, 실제로 사용된 데이터만 저장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VM의 디스크가 필요 이상으로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단순하고 설정이 쉬운 방식으로, 소규모 환경에 적합합니다.
ZFS는 파일 시스템과 볼륨 관리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고급 스토리지 솔루션입니다.
스냅샷, 압축, RAID-Z 등을 지원하며, 안정성이 높아 Proxmox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Create: Directory
선택Create
클릭# df -Th | grep SDB
=================================================================
/dev/sdb1 xfs 256G 1.9G 255G 1% /mnt/pve/SDB
=================================================================
More
→ Destroy
클릭1. 물리 볼륨(PV) 생성
# pvcreate /dev/sdc1
=================================================
Physical volume "/dev/sdc1" successfully created.
=================================================
# pvcreate /dev/sdd1
=================================================
Physical volume "/dev/sdd1" successfully created.
=================================================
2. 볼륨 그룹(VG) 생성 및 확장
# vgcreate VG_LVM /dev/sdc1
==========================================
Volume group "VG_LVM" successfully created
==========================================
# vgextend VG_LVM /dev/sdd1
===========================================
Volume group "VG_LVM" successfully extended
===========================================
3. 볼륨 그룹 정보 확인
# vgdisplay
========================================
VG Name VG_LVM
VG Size 511.99 GiB
Free PE / Size 131070 / 511.99 GiB
========================================
4. LVM Thin 논리 볼륨 생성
# lvcreate -l 100%FREE --thinpool LV_LVM VG_LVM
===============================================
Logical volume "LV_LVM" created.
===============================================
5. LVM 정보 확인
lvdisplay VG_LVM
Datacenter
→ Storage
이동Add
클릭LVM-Thin
선택Add
클릭Disks
→ ZFS
이동Create: ZFS
클릭Create
클릭# df -Th | grep ZFS
=========================================================
ZFS zfs 494G 128K 494G 1% /ZFS
=========================================================
1. 개요 본 글은 LVM의 스냅샷(snapshot) 기능으로 복구 지점 생성 → 파일 변경 → 스냅샷 병합(rollback) 과정을 실습합니다. 동일한…
https://youtu.be/ZcxB7akkDKs 1. 개요 두 개의 디스크(/dev/vdb, /dev/vdc)로 LVM을 구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VG/LV 확장 → ext4 축소(오프라인)까지 전체…
https://youtu.be/XYBR1ZFrV9s 1. 개요 parted를 사용해 새 디스크에 GPT 라벨 생성 → 파티션 생성(ext4/XFS) → 포맷/마운트 →…
https://youtu.be/yYV8RQKCFzA 1. 개요 이 문서는 fdisk를 사용해 MBR(DOS)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을 포맷·마운트, /etc/fstab에 등록했다가, 안전하게 해제·삭제하는 전…
1. 개요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디스크…
https://youtu.be/CNd1bJV4wGY 1. 개요 Windows Server를 새로 설치할 때의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Windows Server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