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ypervisor

[Proxmox] Linux VM 생성하기(GUI, CLI)






1. 개요

  • Proxmox VE(Proxmox Virtual Environment)는 KVM 기반의 가상화 솔루션으로, 다양한 운영체제를 가상 머신(VM)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이 가이드는 Proxmox에서 Rocky Linux 9.5 기반의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과정과 관련 이론을 설명합니다.



2. 버전

  • Proxmox 8.3
  • Rocky Linux 9.5



3. ISO




3-1. ISO 이동

# mv Rocky-9.5-x86_64-dvd.iso /var/lib/vz/template/iso/



3-2. ISO 확인

# ls /var/lib/vz/template/iso
=============================
Rocky-9.5-x86_64-dvd.iso
=============================



4. VM 생성




4-1. GUI를 이용한 VM 생성

  1. Proxmox 웹 UI에서 서버를 우클릭
  2. Create VM 클릭


  1. VM ID 자동 할당 또는 직접 입력
  2. VM 이름 입력


  1. 설치할 OS의 ISO 파일 선택 후 Next 클릭


  1. 기본 설정 유지 또는 필요에 맞게 조정 후 Next 클릭


  1. 가상 디스크 크기 및 저장소 선택 후 Next 클릭


  1. CPU 개수 설정 후 Next 클릭


  1. RAM 용량 설정 후 Next 클릭


  1. 네트워크 어댑터 선택 후 Next 클릭


  1. Finish 클릭하여 VM 생성 완료



4-2. GUI를 이용한 VM 삭제

  1. 삭제하려는 VM 선택
  2. More 클릭 후 Remove 선택


  1. 삭제할 VM ID 입력 후 삭제 방법 선택
  2. Remove 클릭하여 삭제 진행



4-3. CLI를 이용한 VM 생성

  • 터미널을 이용하여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4-3-1. Storage 확인

# pvesm status


4-3-2. VM 생성

# qm create 101 --name Rocky9.5-CLI \
--cpu cputype=host --cores 2 --sockets 2 --memory 8196 \
--net0 virtio,bridge=vmbr0 --cdrom local:iso/Rocky-9.5-x86_64-dvd.iso \
--scsihw virtio-scsi-pci --virtio0 SDB-6TB:128


4-3-3. VM 생성 확인

# qm list
======================================================================
      VMID NAME                 STATUS     MEM(MB)    BOOTDISK(GB) PID
       100 Rocky9.5             stopped    32768            128.00 0
       101 Rocky9.5-CLI         stopped    8196             128.00 0
======================================================================


4-3-4. VM 실행

# qm start 101


4-3-5. VM 실행 확인

# qm list
======================================================================
      VMID NAME                 STATUS     MEM(MB)    BOOTDISK(GB) PID
       100 Rocky9.5             stopped    32768            128.00 0
       101 Rocky9.5-CLI         running    8196             128.00 12894
======================================================================



4-4. CLI를 이용한 VM 삭제



4-4-1. VM 종료

# qm stop 101


4-4-2. VM 종료 확인

# qm list
======================================================================
      VMID NAME                 STATUS     MEM(MB)    BOOTDISK(GB) PID
       100 Rocky9.5             stopped    32768            128.00 0
       101 Rocky9.5-CLI         stopped    8196             128.00 0
======================================================================


4-4-3. VM 삭제

# qm destroy 101


4-4-4. VM 삭제 확인

# qm list
======================================================================
      VMID NAME                 STATUS     MEM(MB)    BOOTDISK(GB) PID
       100 Rocky9.5             stopped    32768            128.00 0
======================================================================



seuheu

최근 게시물

[Linux] Rocky Linux 9.5 LVM 스냅샷 실습 ext4/XFS 스냅샷 생성·변경·병합(롤백) 가이드[Linux] Rocky Linux 9.5 LVM 스냅샷 실습 ext4/XFS 스냅샷 생성·변경·병합(롤백) 가이드

1. 개요 본 글은 LVM의 스냅샷(snapshot) 기능으로 복구 지점 생성 → 파일 변경 → 스냅샷 병합(rollback) 과정을 실습합니다. 동일한…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LVM PV/VG/LV 구축, 온라인 확장, ext4 오프라인 축소

https://youtu.be/ZcxB7akkDKs 1. 개요 두 개의 디스크(/dev/vdb, /dev/vdc)로 LVM을 구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VG/LV 확장 → ext4 축소(오프라인)까지 전체…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Parted로 GPT 파티셔닝: ext4/XFS 포맷과 fstab 자동 마운트

https://youtu.be/XYBR1ZFrV9s 1. 개요 parted를 사용해 새 디스크에 GPT 라벨 생성 → 파티션 생성(ext4/XFS) → 포맷/마운트 →…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FDISK MBR 파티셔닝 : ext4/XFS 포맷과 fstab 자동 마운트

https://youtu.be/yYV8RQKCFzA 1. 개요 이 문서는 fdisk를 사용해 MBR(DOS)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을 포맷·마운트, /etc/fstab에 등록했다가, 안전하게 해제·삭제하는 전…

%일 전

[Linux] MBR vs GPT : 리눅스 파티션 방식 쉽게 비교

1. 개요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디스크…

%일 전

[WindowsServer] Windows Server 2025 설치

https://youtu.be/CNd1bJV4wGY 1. 개요 Windows Server를 새로 설치할 때의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Windows Server 설치…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