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류 | 항목 | 설정 내용 설명 |
|---|---|---|
| Localization | Keyboard | 시스템 키보드 레이아웃을 설정합니다. |
| Language Support | 시스템 언어 및 지역화를 설정합니다. | |
| Time & Date | 시간대 및 현재 시간을 설정하고 NTP 동기화 여부를 선택합니다. | |
| Software | Installation Source | 설치 소스(로컬 ISO, 네트워크 등)를 지정합니다. |
| Software Selection | 설치할 환경(Minimal, Server with GUI 등)을 선택합니다. | |
| System | Installation Destination | 운영체제를 설치할 디스크와 파티션 방식을 설정합니다. |
| KDUMP | 시스템 오류 발생 시 메모리 덤프 수집 여부를 설정합니다. | |
| Network & Host Name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및 호스트 이름을 설정합니다. | |
| Security Profile | 보안 정책(예: CIS 등)을 적용할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 |
| User Settings | Root Password | 루트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
| User Creation | 일반 사용자 계정을 생성합니다. |
| 항목 이름 | 설명 | 용도 | 추천 대상 |
|---|---|---|---|
| Server with GUI |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한 통합형 서버 환경 | 데스크탑 환경에서 서버를 직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 GUI를 통해 서버를 관리하고 싶은 사용자 / 리눅스 초보자 / DCV 등 GUI 기반 서버 운영 |
| Server | GUI 없이 운영되는 텍스트 기반 서버 환경 | 경량화된 서버, SSH 기반 관리 | 터미널 환경에 익숙한 관리자 / 자원 절약형 서버 구축 시 |
| Minimal Install | 네트워크 도구조차 포함되지 않은 극도로 최소화된 설치 | 커스터마이징 자유도 높음. 필요한 패키지를 수동 설치 | 고급 사용자 / 자동화 스크립트 기반 설치 / 보안 강화된 환경 |
| Workstation | 데스크탑 사용자에게 적합한 GUI 중심의 환경 | 일반적인 사무/개인용 데스크탑 환경 | 개발자, 오피스 사용, 데스크탑 기반 사용자 |
| Custom Operating System | Rocky Linux의 기본 구성만 포함된 빌딩 블록 | 목적에 맞게 완전히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환경 | 전문가 또는 테스트용 실험 환경 구축 시 |
| Virtualization Host | 최소한의 기능만 포함된 가상화 호스트 전용 환경 | KVM 기반 가상 머신 운영 환경에 적합 | Libvirt/KVM을 이용한 하이퍼바이저 구축 시 |
| 파티션 방식 | 설명 | 특징 | 추천 사용 환경 |
|---|---|---|---|
| Standard Partition | 고전적인 디스크 파티션 방식으로, 각 파티션이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 구조가 단순하고, 관리가 쉬우며, 부트 오류 시 복구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 소규모 서버, 단일 디스크 시스템, 복잡한 LVM 구성이 필요 없는 환경 |
| LVM (Logical Volume Manager) | 논리 볼륨 관리 방식으로, 디스크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파티션 구조입니다. | 파티션 크기 조절, 스냅샷 생성, 디스크 확장이 유리하며, 백업/유지보수에 강력합니다. | 대부분의 서버 환경, 성장 가능성이 있는 시스템, 백업/복구 계획이 있는 환경 |
| LVM Thin Provisioning | LVM의 확장형으로, 실제 물리 디스크 공간보다 논리적으로 더 큰 볼륨을 먼저 할당하고 나중에 물리 공간을 동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으나, 복잡성과 위험 요소가 있습니다. | 클라우드 환경, 가상화, 스토리지 풀 기반 시스템, 고급 사용자 대상 |
| 구분 | 필수 파티션 | 주의 사항 |
|---|---|---|
| BIOS | /boot(/에 포함 가능), /, swap | /boot는 LVM 외부로 둘 것 권장 |
| UEFI | /boot/efi, /boot, /, swap | /boot/efi는 반드시 vfat 형식이고 GPT 디스크 필요 |
https://youtu.be/n8-wlkZiqio 1. 개요 NFS(Network File System)를 설치하고, rw/ro 및 root_squash 옵션에 따른 접근 제어와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https://youtu.be/4MVxzmepY3s 1. 개요 리눅스에서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백업, 로그 정리, 모니터링 등)은 cron 서비스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vPfxWFBE1yc 1. 개요 리눅스 서버를 운영할 때 사용자 계정 생성, 비밀번호 설정, 권한 부여, 계정…
https://youtu.be/Gvp2XwBfoKw 1. 개요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동기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클러스터…
https://youtu.be/pt9qhawl8LY 1. 개요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https://youtu.be/iPdHGXh7DUg 1. 개요 서버 운영 시 시스템 시간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로그 분석,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