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LinuxRocky9

[Linux] Rocky Linux 9.5 타임존(Timezone)이 뭐예요? 리눅스 시간 확인과 변경 방법






1. 개요

  • 서버 운영 시 시스템 시간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로그 분석, 모니터링, 클러스터 동기화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한국(KST, Korea Standard Time)에서 서버를 운용한다면 기본적으로 Asia/Seoul 타임존으로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Rocky Linux 기준으로 타임존 확인 및 변경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2. 버전

  • Rocky Linux 9.5



3. 설명




3-1. Timezone 이란?

  • 24시간대를 기준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지역마다 표준시가 다릅니다.
  • 운영체제(OS)는 Timezone 설정 을 통해 “어떤 지역 시간을 기준으로 표시할지”를 결정합니다.
  • UTC(세계 표준시)를 기준으로 한 값을 가져와서, 설정된 Timezone에 맞게 변환하여 Local time(지역 시간)을 보여줍니다.



3-2. timedatectl 출력 항목 설명

항목설명
Local time현재 시스템이 설정된 타임존(Timezone)에 맞추어 표시되는 시간입니다.
예시: Asia/SeoulKST (UTC+9) 기준 시간
Universal time (UTC)국제 표준시(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입니다.
전 세계 어디서나 동일하게 유지되는 기준 시간입니다.
RTC timeRTC(Real Time Clock), 메인보드의 하드웨어 시계에 저장된 시간입니다.
BIOS/UEFI에서 관리되며 OS 시간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UTC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Time zone현재 서버가 사용하는 타임존 설정 값입니다.
예시: Asia/Seoul (KST, +0900) → 한국 표준시(UTC+9)
System clock synchronized시스템 시계가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동기화되었는지 여부입니다.
yes → 정확한 시간 유지 중
no → 동기화되지 않음
NTP service현재 NTP 서비스 동작 상태를 의미합니다.
active → 동기화 서비스 실행 중
inactive → 동기화 서비스 중지됨
RTC in local TZ하드웨어 시계(RTC)가 로컬 타임존 기준인지 여부입니다.
no → RTC는 UTC 기준
yes → RTC는 Local time 기준
→ 일반적으로는 no (UTC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4. Timezone




4-1. Timezone 확인

# timedatectl


출력 예시:

               Local time: Fri 2025-09-26 18:59:05 EDT
           Universal time: Fri 2025-09-26 22:59:05 UTC
                 RTC time: Fri 2025-09-26 22:59:05
                Time zone: America/New_York (EDT, -0400)
System clock synchronized: no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4-2. 사용할 수 있는 Timezone 확인

# timedatectl list-timezones | grep Seoul


출력 예시:

Asia/Seoul



4-3. Timezone 변경

#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4-4. Timezone 변경 확인

# timedatectl


출력 예시:

               Local time: Sat 2025-09-27 08:00:30 KST
           Universal time: Fri 2025-09-26 23:00:30 UTC
                 RTC time: Fri 2025-09-26 23:00:30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em clock synchronized: no
              NTP service: active
          RTC in local TZ: no



seuheu

최근 게시물

[Linux] Rocky Linux 9.5 리눅스 시간 관리 입문: 하드웨어(RTC)와 시스템(OS) 시간 개념부터 동기화까지

https://youtu.be/pt9qhawl8LY 1. 개요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LVM 구성 디스크 초기화 절차 (PV/VG/LV/Partiton 제거)

https://youtu.be/F06CS8Encr8 1. 개요 LVM 환경에서 캐시 LV까지 포함된 볼륨 그룹(VG) 을 깨끗하게 삭제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umount…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LVM Cache 설정과 성능 테스트

https://youtu.be/dxnMCfpe_f8 1. 개요 LVM Cache (lvconvert cache) 기능을 활용하여 저속 디스크(vdb1) 위에 생성한 LV를 고속 디스크(vdc1)기반 Cache Pool로 가속하는…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LVM RAID 0·1·5·10 구성과 디스크 교체 방법

https://youtu.be/Yjnvt3ASNcQ 1. 개요 LVM(Linux Logical Volume Manager)을 이용해 RAID0, RAID1, RAID5, RAID10 구성을 실습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2.…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LVM Thin Provisioning Thin Pool & Thin Volume 구성하기

https://youtu.be/8MelvWg-1Js 1. 개요 LVM 환경에서 Thin Pool과 Thin Volume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한 뒤, lvs 명령어로 사용 현황을 확인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LVM PV 이관 가이드 : pvmove로 개념·이유·동작 원리 한 번에

https://youtu.be/8jrMVfosV6Y 1. 개요 LVM 환경에서 pvmove를 사용해 /dev/vdb1 → /dev/vdc1로 데이터를 무중단(온라인) 이관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이관 전/후 LV–PV 매핑…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