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RAC(Integrated Dell Remote Access Controller)는 안전한 로컬 및 원격 서버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IT 관리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Dell PowerEdge 서버를 구축,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도록 지원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서버는 서버실 랙에 마운트되어 있는데요,
서버의 상태와 하드웨어 및 바이오스 설정을 확인, 변경하려면 매번 서버실에 방문하여 콘솔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iDRAC입니다.
이 외에도 많은 기능과 사용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iDRAC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P 설정이 필요하고,
물리적인 랜 케이블을 연결해야 합니다.
추가 적으로 클라이언트와 통신도 가능해야 합니다.
서버 전원을 켜시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올때 F2를 눌러 System Setup을 들어갑니다.
System Setup에 들어왔으면 iDRAC Settings을 선택해 줍니다.
iDRAC Settings에서 Network를 선택 합니다.
첫 번째로 Enable NIC에서 Enabled를 선택해 줍니다.
두 번째로 NIC Selection을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LOM3번 포트를 사용하여 랜 케이블 하나로 운영체제에서 외부 통신과 iDRAC 통신을 같이 공유하여 사용하겠습니다.
서버 후면에 iDRAC 포트가 따로 있습니다.
iDRAC 포트에 랜 케이블을 연결하여 NIC Selection에서 Dedicated로 사용하면 됩니다.
IPV4 SETTINGS에서 iDRAC 접속 IP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URL에서 설정한 IP를 입력해 주시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접속이 가능 합니다.
처음 접속시 기본으로 설정되는 ID, PW를 입력하여 로그인해 주시면 됩니다.
– ID: root
– PW: calvin
iDRAC 설정 완료 되었습니다.
1. 개요 본 글은 LVM의 스냅샷(snapshot) 기능으로 복구 지점 생성 → 파일 변경 → 스냅샷 병합(rollback) 과정을 실습합니다. 동일한…
https://youtu.be/ZcxB7akkDKs 1. 개요 두 개의 디스크(/dev/vdb, /dev/vdc)로 LVM을 구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VG/LV 확장 → ext4 축소(오프라인)까지 전체…
https://youtu.be/XYBR1ZFrV9s 1. 개요 parted를 사용해 새 디스크에 GPT 라벨 생성 → 파티션 생성(ext4/XFS) → 포맷/마운트 →…
https://youtu.be/yYV8RQKCFzA 1. 개요 이 문서는 fdisk를 사용해 MBR(DOS)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을 포맷·마운트, /etc/fstab에 등록했다가, 안전하게 해제·삭제하는 전…
1. 개요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디스크…
https://youtu.be/CNd1bJV4wGY 1. 개요 Windows Server를 새로 설치할 때의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Windows Server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