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Rocky9] nmtui 고정 IP 설정






1. 버전

– Rocky-9.2






2. 설명





2-1. nmtui 란?

NetworkManager를 위한 간단한 TUI(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니다.







3. nmtui





3-1. NetworkManager 확인

#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 NetworkManager.service - Network Manager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NetworkManager.service; en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Wed 2023-09-20 04:56:49 EDT; 1h 47min ago
       Docs: man:NetworkManager(8)
   Main PID: 899 (NetworkManager)
      Tasks: 3 (limit: 48928)
     Memory: 11.3M
        CPU: 16.847s
     CGroup: /system.slice/NetworkManager.service
             └─899 /usr/sbin/NetworkManager --no-daemon




3-2. 고정 IP 설정

# nmtui


Edit a connection 선택합니다.


사용하실 Ethernet을 선택합니다.


IPv4 CONFIGURATION을 Manual로 변경합니다.
고정으로 설정하실 IP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Activate a connection을 선택합니다.


사용하시려는 Ethernet 앞에 * 표시가 있으면 활성화된 상태입니다.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Quit를 선택하여 nmtui를 종료합니다.




3-3. 확인

# ifconfig

ens32: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204.220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204.255
        ether 00:0c:29:c1:4d:d8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188900  bytes 12431251 (11.8 MiB)
        RX errors 0  dropped 48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403  bytes 60585 (59.1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lo: flags=73<UP,LOOPBACK,RUNNING>  mtu 65536
        inet 127.0.0.1  netmask 255.0.0.0
        inet6 ::1  prefixlen 128  scopeid 0x10<host>
        loop  txqueuelen 1000  (Local Loopback)
        RX packets 412  bytes 38320 (37.4 K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412  bytes 38320 (37.4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 ping google.com

64 bytes from syd09s13-in-f14.1e100.net (172.217.25.174): icmp_seq=1 ttl=55 time=29.1 ms
64 bytes from sin01s16-in-f14.1e100.net (172.217.25.174): icmp_seq=2 ttl=55 time=29.0 ms
64 bytes from syd09s13-in-f14.1e100.net (172.217.25.174): icmp_seq=3 ttl=55 time=29.1 ms



seuheu

최근 게시물

[Linux] Rocky Linux 9.5 NFS 구성 및 테스트 가이드 (rw/ro + root_squash 비교)

https://youtu.be/n8-wlkZiqio 1. 개요 NFS(Network File System)를 설치하고, rw/ro 및 root_squash 옵션에 따른 접근 제어와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Cron 설정 및 테스트 방법

https://youtu.be/4MVxzmepY3s 1. 개요 리눅스에서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백업, 로그 정리, 모니터링 등)은 cron 서비스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계정 관리 (생성 · 권한 · 잠금 · 삭제) 정리

https://youtu.be/vPfxWFBE1yc 1. 개요 리눅스 서버를 운영할 때 사용자 계정 생성, 비밀번호 설정, 권한 부여, 계정…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Chrony로 시간 동기화 설정하기

https://youtu.be/Gvp2XwBfoKw 1. 개요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동기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클러스터…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리눅스 시간 관리 입문: 하드웨어(RTC)와 시스템(OS) 시간 개념부터 동기화까지

https://youtu.be/pt9qhawl8LY 1. 개요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타임존(Timezone)이 뭐예요? 리눅스 시간 확인과 변경 방법

https://youtu.be/iPdHGXh7DUg 1. 개요 서버 운영 시 시스템 시간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로그 분석, 모니터링,…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