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Rocky] Bonding 설정(nmcli)






1. 버전

Rocky-9.2







2. 설명





2-1. Bonding 이란?

여러 개의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어 NIC 개수만큼 대역폭을 확장하는 기술




2-2. Bonding Mode







3. Bonding





3-1. 인터페이스 생성 및 모니터링 주기 설정

※ miimon: 모니터링 주기를 가리키며 ms 단위임으로 1000으로 할 경우 1초 단위로 링크 모니터링 수행


# nmcli connection add type bond con-name bond0 ifname bond0 bond.options “mode=active-backup,miimon=1000”




3-2. 설정

# nmcli device status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ens32   ethernet  connected                              ens32
lo      loopback  connected (externally)                 lo
bond0   bond      connecting (getting IP configuration)  bond0
ens34   ethernet  disconnected                           --


#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slave-type bond con-name bond0-ens32 ifname ens32 master bond0
#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slave-type bond con-name bond0-ens34 ifname ens34 master bond0




3-3. IP 설정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addresses 192.168.204.220/24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gateway 192.168.204.254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dns 168.126.63.1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method manual




3-4. 적용

# nmcli connection down ens32
# nmcli connection down ens34
# nmcli connection up bond0
# nmcli device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bond0   bond      connected               bond0
lo      loopback  connected (externally)  lo
ens32   ethernet  connected               bond0-ens32
ens34   ethernet  connected               bond0-ens34







4. 테스트





4-1. Active 확인

# cat /proc/net/bonding/bond0

Ethernet Channel Bonding Driver: v5.14.0-284.11.1.el9_2.x86_64

Bonding Mode: fault-tolerance (active-backup)
Primary Slave: None
Currently Active Slave: ens34
MII Status: up
MII Polling Interval (ms): 1000
Up Delay (ms): 0
Down Delay (ms): 0
Peer Notification Delay (ms): 0

Slave Interface: ens34
MII Status: up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0
Permanent HW addr: 00:0c:29:c1:4d:e2
Slave queue ID: 0

Slave Interface: ens32
MII Status: up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0
Permanent HW addr: 00:50:56:ad:3f:92
Slave queue ID: 0




4-2. Active 다운

# ifconfig ens34 down




4-3. Active 변경 확인

# cat /proc/net/bonding/bond0

Ethernet Channel Bonding Driver: v5.14.0-284.11.1.el9_2.x86_64

Bonding Mode: fault-tolerance (active-backup)
Primary Slave: None
Currently Active Slave: ens32
MII Status: up
MII Polling Interval (ms): 1000
Up Delay (ms): 0
Down Delay (ms): 0
Peer Notification Delay (ms): 0

Slave Interface: ens34
MII Status: down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1
Permanent HW addr: 00:0c:29:c1:4d:e2
Slave queue ID: 0

Slave Interface: ens32
MII Status: up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0
Permanent HW addr: 00:50:56:ad:3f:92
Slave queue ID: 0



seuheu

댓글 보기

  • 설명 소중히 잘 보았습니다.
    저희가 Bonding 작업 중 수정 후 아래와 같이 저장하고 종료한 이후에 본딩설정 파일이 사라지는 문제로 계속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최초 구성하면 파일이 사라지지 않는데 파일을 수정하고 나면 사라지는 증상입니다.
    혹시 해결책을 아실 수 있으실지 해서 댓글로 문의 드립니다.

    • 댓글 남겨주시고 제가 설정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서 도움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최초구성 -> 재부팅 -> IP 변경 -> 재부팅

      위 방법으로 테스트 진행하였으며 아래 파일은 변경된 IP로 잘 적용 됩니다.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bond0.nmconnection

최근 게시물

[Linux] Rocky Linux 9.5 LVM 스냅샷 실습 ext4/XFS 스냅샷 생성·변경·병합(롤백) 가이드[Linux] Rocky Linux 9.5 LVM 스냅샷 실습 ext4/XFS 스냅샷 생성·변경·병합(롤백) 가이드

1. 개요 본 글은 LVM의 스냅샷(snapshot) 기능으로 복구 지점 생성 → 파일 변경 → 스냅샷 병합(rollback) 과정을 실습합니다. 동일한…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LVM PV/VG/LV 구축, 온라인 확장, ext4 오프라인 축소

https://youtu.be/ZcxB7akkDKs 1. 개요 두 개의 디스크(/dev/vdb, /dev/vdc)로 LVM을 구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VG/LV 확장 → ext4 축소(오프라인)까지 전체…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Parted로 GPT 파티셔닝: ext4/XFS 포맷과 fstab 자동 마운트

https://youtu.be/XYBR1ZFrV9s 1. 개요 parted를 사용해 새 디스크에 GPT 라벨 생성 → 파티션 생성(ext4/XFS) → 포맷/마운트 →…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FDISK MBR 파티셔닝 : ext4/XFS 포맷과 fstab 자동 마운트

https://youtu.be/yYV8RQKCFzA 1. 개요 이 문서는 fdisk를 사용해 MBR(DOS)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을 포맷·마운트, /etc/fstab에 등록했다가, 안전하게 해제·삭제하는 전…

%일 전

[Linux] MBR vs GPT : 리눅스 파티션 방식 쉽게 비교

1. 개요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디스크…

%일 전

[WindowsServer] Windows Server 2025 설치

https://youtu.be/CNd1bJV4wGY 1. 개요 Windows Server를 새로 설치할 때의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Windows Server 설치…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