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Rocky] Bonding 설정(nmcli)






1. 버전

Rocky-9.2







2. 설명





2-1. Bonding 이란?

여러 개의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어 NIC 개수만큼 대역폭을 확장하는 기술




2-2. Bonding Mode







3. Bonding





3-1. 인터페이스 생성 및 모니터링 주기 설정

※ miimon: 모니터링 주기를 가리키며 ms 단위임으로 1000으로 할 경우 1초 단위로 링크 모니터링 수행


# nmcli connection add type bond con-name bond0 ifname bond0 bond.options “mode=active-backup,miimon=1000”




3-2. 설정

# nmcli device status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ens32   ethernet  connected                              ens32
lo      loopback  connected (externally)                 lo
bond0   bond      connecting (getting IP configuration)  bond0
ens34   ethernet  disconnected                           --


#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slave-type bond con-name bond0-ens32 ifname ens32 master bond0
# nmcli connection add type ethernet slave-type bond con-name bond0-ens34 ifname ens34 master bond0




3-3. IP 설정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addresses 192.168.204.220/24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gateway 192.168.204.254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dns 168.126.63.1
# nmcli connection modify bond0 ipv4.method manual




3-4. 적용

# nmcli connection down ens32
# nmcli connection down ens34
# nmcli connection up bond0
# nmcli device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bond0   bond      connected               bond0
lo      loopback  connected (externally)  lo
ens32   ethernet  connected               bond0-ens32
ens34   ethernet  connected               bond0-ens34







4. 테스트





4-1. Active 확인

# cat /proc/net/bonding/bond0

Ethernet Channel Bonding Driver: v5.14.0-284.11.1.el9_2.x86_64

Bonding Mode: fault-tolerance (active-backup)
Primary Slave: None
Currently Active Slave: ens34
MII Status: up
MII Polling Interval (ms): 1000
Up Delay (ms): 0
Down Delay (ms): 0
Peer Notification Delay (ms): 0

Slave Interface: ens34
MII Status: up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0
Permanent HW addr: 00:0c:29:c1:4d:e2
Slave queue ID: 0

Slave Interface: ens32
MII Status: up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0
Permanent HW addr: 00:50:56:ad:3f:92
Slave queue ID: 0




4-2. Active 다운

# ifconfig ens34 down




4-3. Active 변경 확인

# cat /proc/net/bonding/bond0

Ethernet Channel Bonding Driver: v5.14.0-284.11.1.el9_2.x86_64

Bonding Mode: fault-tolerance (active-backup)
Primary Slave: None
Currently Active Slave: ens32
MII Status: up
MII Polling Interval (ms): 1000
Up Delay (ms): 0
Down Delay (ms): 0
Peer Notification Delay (ms): 0

Slave Interface: ens34
MII Status: down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1
Permanent HW addr: 00:0c:29:c1:4d:e2
Slave queue ID: 0

Slave Interface: ens32
MII Status: up
Speed: 1000 Mbps
Duplex: full
Link Failure Count: 0
Permanent HW addr: 00:50:56:ad:3f:92
Slave queue ID: 0



seuheu

댓글 보기

  • 설명 소중히 잘 보았습니다.
    저희가 Bonding 작업 중 수정 후 아래와 같이 저장하고 종료한 이후에 본딩설정 파일이 사라지는 문제로 계속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최초 구성하면 파일이 사라지지 않는데 파일을 수정하고 나면 사라지는 증상입니다.
    혹시 해결책을 아실 수 있으실지 해서 댓글로 문의 드립니다.

    • 댓글 남겨주시고 제가 설정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서 도움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최초구성 -> 재부팅 -> IP 변경 -> 재부팅

      위 방법으로 테스트 진행하였으며 아래 파일은 변경된 IP로 잘 적용 됩니다.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bond0.nmconnection

최근 게시물

[Linux] Rocky Linux 9.5 NFS 구성 및 테스트 가이드 (rw/ro + root_squash 비교)

https://youtu.be/n8-wlkZiqio 1. 개요 NFS(Network File System)를 설치하고, rw/ro 및 root_squash 옵션에 따른 접근 제어와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Cron 설정 및 테스트 방법

https://youtu.be/4MVxzmepY3s 1. 개요 리눅스에서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백업, 로그 정리, 모니터링 등)은 cron 서비스를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계정 관리 (생성 · 권한 · 잠금 · 삭제) 정리

https://youtu.be/vPfxWFBE1yc 1. 개요 리눅스 서버를 운영할 때 사용자 계정 생성, 비밀번호 설정, 권한 부여, 계정…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Chrony로 시간 동기화 설정하기

https://youtu.be/Gvp2XwBfoKw 1. 개요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동기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클러스터…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리눅스 시간 관리 입문: 하드웨어(RTC)와 시스템(OS) 시간 개념부터 동기화까지

https://youtu.be/pt9qhawl8LY 1. 개요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일 전

[Linux] Rocky Linux 9.5 타임존(Timezone)이 뭐예요? 리눅스 시간 확인과 변경 방법

https://youtu.be/iPdHGXh7DUg 1. 개요 서버 운영 시 시스템 시간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로그 분석, 모니터링,…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