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격 데스크톱 포트 변경
– Windows11 22H2
– 원격 데스크톱 기본 포트는 3389
– 보안상 포트를 변경하는 경우가 많음
1: 레지스트리 편집기 검색
2: 레지스트리 편집기 클릭
1: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이동
2: PortNumber 오른쪽 마우스 클릭
3: 수정
1: 변경할 Port 설정
2: 확인
수정한 포트 확인
1: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 검색
2: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 실행
1: 인바운드 규칙 클릭
2: 새 규칙 클릭
1: 포트 클릭
2: 다음
1: TCP 클릭
2: 특정 로컬 포트 선택 및 변경 포트 입력
3: 다음
1: 연결 허용
2: 다음
다음
1: 이름 설정
2: 마침
방화벽 등록 확인
1: 서비스 검색
2: 서비스 실행
1: Remote Desktop Services 오른쪽 마우스 클릭
2: 다시 시작
예
[CMD]> reg add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v PortNumber /t REG_DWORD /d 53389 /f
[CMD]>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RDP” dir=in action=allow protocol=tcp localport=53389
[CMD]> netsh advfirewall firewall show rule name=”RDP”
규칙 이름: RDP
----------------------------------------------------------------------
사용: 예
방향: 들어오는 메시지
프로필: 도메인,개인,공용
그룹화:
LocalIP: 모두
RemoteIP: 모두
Protocol: TCP
LocalPort: 53389
RemotePort: 모두
에지 통과: 아니요
작업: 허용
확인됨
[CMD] > net stop /y TermService & net start TermService
[PS]> Get-ItemProperty -Path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name “PortNumber”
PortNumber : 3389
PSPath : Microsoft.PowerShell.Core\Registry::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PSParentPath : Microsoft.PowerShell.Core\Registry::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
PSChildName : RDP-Tcp
PSDrive : HKLM
PSProvider : Microsoft.PowerShell.Core\Registry
[PS]> $portvalue = 53389
[PS]> Set-ItemProperty -Path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name “PortNumber” -Value $portvalue
[PS]> New-NetFirewallRule -DisplayName “RDP” -Profile “Any” -Direction Inbound -Action Allow -Protocol TCP -LocalPort $portvalue
[PS]> Restart-Service -Name TermService -Force -Confirm
확인
이 작업을 수행하시겠습니까?
대상 "Remote Desktop Services (TermService)"에서 "Restart-Service" 작업을 수행합니다.
[Y] 예(Y) [A] 모두 예(A) [N] 아니요(N) [L] 모두 아니요(L) [S] 일시 중단(S) [?] 도움말 (기본값은 "Y"): A
1. 개요 본 글은 LVM의 스냅샷(snapshot) 기능으로 복구 지점 생성 → 파일 변경 → 스냅샷 병합(rollback) 과정을 실습합니다. 동일한…
https://youtu.be/ZcxB7akkDKs 1. 개요 두 개의 디스크(/dev/vdb, /dev/vdc)로 LVM을 구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VG/LV 확장 → ext4 축소(오프라인)까지 전체…
https://youtu.be/XYBR1ZFrV9s 1. 개요 parted를 사용해 새 디스크에 GPT 라벨 생성 → 파티션 생성(ext4/XFS) → 포맷/마운트 →…
https://youtu.be/yYV8RQKCFzA 1. 개요 이 문서는 fdisk를 사용해 MBR(DOS)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하고, ext4/XFS 파일시스템을 포맷·마운트, /etc/fstab에 등록했다가, 안전하게 해제·삭제하는 전…
1. 개요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디스크…
https://youtu.be/CNd1bJV4wGY 1. 개요 Windows Server를 새로 설치할 때의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였습니다. Windows Server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