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mox] pGPU와 vGPU 동시 사용 설정 

1. 개요 2. 버전 Proxmox 8.2 3. 설명 3-1. pGPU와 vGPU의 차이점 4. pGPU 및 vGPU 설정하기 4-1. GRUB 설정 변경 아래 내용을 추가 및 수정합니다: 변경 사항 적용: 4-2. VFIO 모듈 로드 및 드라이버 블랙리스트 설정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아래 내용을 추가하여 기존 NVIDIA 드라이버를 블랙리스트 처리합니다: VFIO 설정 추가: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4-3. … 더 읽기

[Proxmox] vGPU 설정 

1. 개요 Proxmox에서 vGPU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2. 버전 Proxmox 8.2 3. vGPU란? 4. vGPU 설정 4-1. Proxmox 커널 업데이트 및 필수 패키지 설치 커널 목록 확인 후 특정 버전 고정: 4-2. GRUB 설정 변경 다음 내용을 추가 및 수정합니다: 변경 사항 적용: 4-3. VFIO 모듈 로드 및 드라이버 블랙리스트 설정 초기화 후 시스템 재부팅: … 더 읽기

[Proxmox] pGPU 설정 

1. 개요 2. 버전 3. pGPU란? 4. pGPU 설정 4-1. GPU 확인 출력 예시: 4-2. 시스템 설정 변경 4-2-1. GRUB 설정 설정: 4-2-2. GRUB을 업데이트 4-2-3. VFIO 모듈 로드 설정: 4-2-4. 드라이버 블랙리스트 적용 4-2-5. 시스템 재부팅 4-3. VFIO 바인딩 4-3-1. GPU 상세 정보 확인 출력 예시: 4-3-2. GPU ID 확인 출력 예시: 4-3-3. VFIO 설정 추가 4-3-4. initramfs 업데이트 … 더 읽기

[Proxmox] VM 마이그레이션 (Migrate) 하는 방법 (GUI & CLI)

1. 개요 2. 버전 3. VM 마이그레이션 개념 및 활용 3-1. 마이그레이션 활용 사례 3-2. 마이그레이션 종류 핫 마이그레이션 (Live Migration) 실행 중인 VM을 종료하지 않고 다른 노드로 실시간으로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서비스 중단 없이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합니다. 콜드 마이그레이션(Offline Migration) 정지된 VM을 다른 노드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빠르게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GUI에서 VM 마이그레이션 4-1. VM … 더 읽기

[Proxmox] VM 템플릿을 생성하고 클론하는 방법 (GUI & CLI)

1. 개요 2. 버전 3. VM 템플릿이란? 4. VM 템플릿 생성하기 4-1. GUI에서 템플릿 생성 4-2. GUI에서 템플릿 클론 생성 4-3. CLI에서 템플릿 생성 실행 예시: 4-4. 스토리지 상태 확인 실행 예시: 4-5. CLI에서 템플릿 클론 생성 실행 예시: 4-6. VM 리스트 확인 실행 예시: 5. 참고: 템플릿 속성 수동 수정

[Proxmox] 클러스터 구축 및 관리 방법

1. 개요 2. 버전 3. Proxmox 클러스터란? 4. GUI 4-1. 클러스터 생성 4-2. 클러스터 가입 5. CLI 5-1. 클러스터 생성 5-1-1. 클러스터 생성 출력 예시: 5-1-2. 클러스터 상태 확인 출력 예시: 5-2. 클러스터 가입 5-2-1. 클러스터 가입 출력 예시: 5-2-2. 클러스터 확인 출력 예시: 6. 클러스터 노드 삭제 6-1. 클러스터 멤버 확인 출력 예시: 6-2. … 더 읽기

[Proxmox] 네트워크 설정(Bridge, Bonding, VLAN)

1. 개요 2. 버전 3. Proxmox 네트워크 개요 3-1. 네트워크 브리지 (Network Bridge) 3-2. 본딩 (Bonding) 3-3.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4. Network Bridge 4-1. GUI 생성 4-2. GUI 삭제 4-3. CLI 생성 4-3-1. 네트워크 설정 파일 편집 4-3-2. 설정 추가 4-3-3.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4-3-4. Bridge 생성 확인 출력 예시: 4-4. CLI 삭제 4-4-1. … 더 읽기

[Proxmox] Linux VM 생성하기(GUI, CLI)

1. 개요 2. 버전 3. ISO 3-1. ISO 이동 3-2. ISO 확인 4. VM 생성 4-1. GUI를 이용한 VM 생성 4-2. GUI를 이용한 VM 삭제 4-3. CLI를 이용한 VM 생성 4-3-1. Storage 확인 4-3-2. VM 생성 4-3-3. VM 생성 확인 4-3-4. VM 실행 4-3-5. VM 실행 확인 4-4. CLI를 이용한 VM 삭제 4-4-1. VM 종료 … 더 읽기

[HTML & CSS] CSS에서 box-sizing: border-box;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웹 개발할 때 width와 padding을 설정하면 예상과 다르게 레이아웃이 깨지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스타일을 지정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box의 실제 너비는 얼마일까?보통 200px – 50px(좌) – 50px(우) = 100px이 될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실제로는 width가 컨텐츠 영역(content box)만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래처럼 계산된다. 즉, padding과 border가 width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크기보다 커지는 문제가 … 더 읽기

[HTML & CSS] CSS에서 position: absolute와 position: relative의 관계

1. position: absolute란? CSS에서 position: absolute를 적용하면 해당 요소는 문서 흐름에서 제거되며, 특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배치됩니다.이때 기준점이 되는 요소는 가장 가까운 position이 지정된(즉, relative, absolute, fixed 중 하나인) 부모 요소입니다. 만약 부모 요소가 position: static(기본값)이라면, absolute 요소는 <html> 요소(즉, 문서 전체)를 기준으로 배치됩니다. 이 경우 .child 요소는 문서 전체를 기준으로 top: 50px, left: 50px 위치에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