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MBR vs GPT : 리눅스 파티션 방식 쉽게 비교





1. 개요

  • Linux에서 디스크 파티션 스타일은 MBR(Master Boot Record) 와 GPT(GUID Partition Table)에 대해 설명합니다.



2. MBR이란?

  • 디스크 맨 앞 512바이트(LBA0) 에 부트 코드 + 파티션 표가 함께 들어있습니다.
  • 기본 파티션은 최대 4개이며, 더 필요하실 경우 확장/논리 구조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 32비트 주소 체계로 설계되어 보통 2TiB 근처에서 주소 한계가 발생합니다.
  • 장점: 단순하고 구형 BIOS/OS와 호환이 좋습니다.
  • 단점: 파티션 수와 용량의 제약이 있고, 메타데이터가 한 지점에 몰려 손상에 취약합니다.



3. GPT이란?

  • 디스크 앞(Primary)과 뒤(Backup) 에 헤더와 파티션 목록을 각각 보관하여 이중화합니다.
  • 무결성 검사(CRC) 로 손상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 64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대용량 디스크에 유리하고, 기본 128개 파티션을 제공하며 필요 시 더 늘리실 수 있습니다.
  • GPT는 UEFI 사양(UEFI Specification)에서 공식으로 채택한 파티션 테이블 형식입니다.
  • 장점: 대용량·다수 파티션, 복구 내구성, 현대 OS/펌웨어와의 높은 호환성.
  • 단점: 구조가 다소 복잡하지만, 최신 도구들이 대부분 자동 처리합니다.



4. MBR, GPT 비교

구분MBRGPT
메타데이터 위치디스크 앞 512B(LBA0) 한 지점디스크 앞/뒤 이중화
파티션 수기본 4개(확장/논리 필요)기본 128개(확장 가능)
용량 한계보통 ~2TiB 제약사실상 제약 없음(64비트 주소)
펌웨어 궁합BIOS에 최적UEFI 표준(현대 기본)
안정성/복구한 지점 손상에 취약이중화 + 무결성 검사
주 사용처레거시 호환 환경현대 시스템의 기본 선택



5. 요약

  • MBR: 오래된 방식입니다. 기본 파티션이 최대 4개이며, 보통 2TiB 부근에서 용량 한계가 있습니다. BIOS와 궁합이 좋습니다.
  • GPT: 최신 표준입니다. 파티션을 많이(기본 128개) 만들 수 있고, 대용량에 안정적이며, 메타데이터가 앞·뒤에 이중화되어 더 안전합니다. UEFI와 표준적으로 맞습니다.
  • 현대 환경에서는 대부분 GPT를 권장드립니다. (새 PC·서버, 대용량 디스크, 멀티부팅, 장기 운영에 유리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