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Rocky Linux 9.5 리눅스 시간 관리 입문: 하드웨어(RTC)와 시스템(OS) 시간 개념부터 동기화까지






1. 개요

  • 리눅스 서버에서는 시스템 시간(OS 시간) 과 하드웨어 시간(RTC, Real-Time Clock) 을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운영체제의 시간과 하드웨어 시간이 다르면 로그 기록, 클러스터 동기화, 인증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 시간을 일치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번 글에서는 date 와 hwclock 명령어를 활용하여 시스템 시간과 하드웨어 시간 확인 및 동기화 방법을 정리합니다.



2. 버전

  • Rocky Linux 9.5



3. 설명




3-1. 하드웨어 시간 (RTC, Real-Time Clock)

  • 정의
    • 하드웨어 시간은 메인보드에 내장된 배터리(CMOS 배터리) 를 통해 유지되는 시계입니다.
    • 서버나 PC의 전원이 꺼져 있더라도 배터리 덕분에 시간이 계속 유지되며, BIOS/UEFI 환경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특징
    • 전원이 꺼져 있어도 시간이 유지됩니다.
    • BIOS/UEFI 단계에서 직접 확인 및 설정이 가능합니다.
    • 일반적으로 UTC(국제 표준시) 기준으로 맞추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hwclock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합니다.



3-2. 시스템 시간 (OS Time)

  • 정의
    • 시스템 시간은 운영체제가 실행될 때 메모리에 로드되어 동작하는 시계를 의미합니다.
    • 서버가 부팅될 때 RTC 값을 불러와 초기화되며, 이후에는 운영체제가 자체적으로 시간을 관리합니다.
  • 특징
    • 운영체제에서 모든 애플리케이션, 로그, 프로세스가 참조하는 기준 시간이 됩니다.
    • OS 부팅 시 RTC 값을 불러와 초기화되지만, 이후에는 RTC와 별개로 동작합니다.
    • date 명령어나 timedatectl 명령어를 통해 확인 및 변경이 가능합니다.
    • NTP(Network Time Protocol) 동기화를 통해 네트워크 표준 시간과 맞추실 수 있습니다.



4. 시간 확인




4-1. 하드웨어(RTC) 시간 확인

# hwclock


출력 예시:

2025-09-27 08:09:45.933274+09:00



4-2. 시스템(OS) 시간 확인

# date


출력 예시:

Sat Sep 27 08:09:57 AM KST 2025



5. 시스템(OS) 시간




5-1. 시스템(OS) 시간 변경

# date -s "2025-09-27 12:00:00"



5-2. 시스템(OS) 시간 변경 확인

# date


출력 예시:

Sat Sep 27 12:00:01 PM KST 2025



5-3. 시스템(OS) 시간 → 하드웨어(RTC) 시간 동기화

# hwclock --systohc



5-4. 시스템(OS) 시간 → 하드웨어(RTC) 시간 동기화 확인

# hwclock


출력 예시:

2025-09-27 12:01:15.596591+09:00



6. 하드웨어(RTC) 시간




6-1. 하드웨어(RTC) 시간 변경

# hwclock --set --date="2025-09-27 13:00:00"



6-2. 하드웨어(RTC) 시간 변경 확인

# hwclock


출력 예시:

2025-09-27 13:00:04.284836+09:00



6-3. 하드웨어(RTC) 시간 → 시스템(OS) 시간 동기화

# hwclock --hctosys



6-4. 하드웨어(RTC) 시간 → 시스템(OS) 시간 동기화 확인

# date


출력 예시:

Sat Sep 27 01:00:20 PM KST 2025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