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Rocky Linux 9.5 LVM PV 이관 가이드 : pvmove로 개념·이유·동작 원리 한 번에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PV 이관이란? 3-2. PV 이관을 사용하는 이유 3-3. PV 이관 동작 원리(내부 메커니즘) 4. 이관 전 상태 확인 출력 예시: 5. PV 이관 실행 출력 예시: 6. 이관 후 상태 확인 출력 예시:
스흐 엔지니어 이야기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PV 이관이란? 3-2. PV 이관을 사용하는 이유 3-3. PV 이관 동작 원리(내부 메커니즘) 4. 이관 전 상태 확인 출력 예시: 5. PV 이관 실행 출력 예시: 6. 이관 후 상태 확인 출력 예시: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LVM 스냅샷 개념 참고: 스냅샷 용량(-L)은 “변경되는 데이터량”을 담을 만큼 필요합니다. 부족해 overflow가 나면 스냅샷이 무효가 됩니다. 4. 스냅샷 4-1. 스냅샷 생성 출력 예시: 출력 예시: 4-2. 원본 변경 4-3. 원본 변경 확인 4-4. 마운트 해제 4-5. 스냅샷 병합(롤백) 출력 예시: 출력 예시: 4-6. 재마운트 4-7. 확인 출력 예시: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LVM이란? 3-2. PV(Physical Volume)란? 3-3. VG(Volume Group)란? 3-4. LV(Logical Volume)란? 4. 디스크 설정 4-1. 파티션 생성 및 LVM 설정 4-2. LVM 확인 출력 예시: 5. LVM 생성 5-1. PV 생성 출력 예시: 5-2. VG 생성 출력 예시: 5-3. LV 생성 6. 파일 시스템 생성 7. 마운트 7-1. 마운트 … 더 읽기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Parted 란? 3-2. GPT 란? 3-3. UUID 3-4. /etc/fstab 번호 필드명 의미 대표 입력 예시 핵심 포인트 1 spec 무엇을 마운트? (소스) UUID=…, PARTUUID=…, /dev/nvme0n1p2, /dev/mapper/vg/lv, server:/exp(NFS), //srv/share(CIFS), tmpfs UUID 권장 (blkid, lsblk -f로 확인) 2 file 어디에 마운트? (대상 경로) /, /home, /data, /boot/efi, none(swap) 디렉터리 미리 생성필요 3 vfstype 파일시스템 유형 ext4, xfs, vfat, btrfs, swap, nfs, cifs, tmpfs, iso9660, ntfs-3g bind 마운트는 보통 none 사용 + 옵션에 bind 4 options … 더 읽기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MBR(DOS Disklabel) 3-2. GPT 3-3. Primary Partition 3-4. UUID/PARTUUID 3-5. /etc/fstab 번호 필드명 의미 대표 입력 예시 핵심 포인트 1 spec 무엇을 마운트? (소스) UUID=…, PARTUUID=…, /dev/nvme0n1p2, /dev/mapper/vg/lv, server:/exp(NFS), //srv/share(CIFS), tmpfs UUID 권장 (blkid, lsblk -f로 확인) 2 file 어디에 마운트? (대상 경로) /, /home, /data, /boot/efi, none(swap) 디렉터리 미리 생성필요 3 vfstype 파일시스템 유형 ext4, xfs, vfat, btrfs, swap, nfs, cifs, tmpfs, iso9660, ntfs-3g bind 마운트는 보통 none 사용 + 옵션에 bind 4 … 더 읽기
1. 개요 2. MBR이란? 3. GPT이란? 4. MBR, GPT 비교 구분 MBR GPT 메타데이터 위치 디스크 앞 512B(LBA0) 한 지점 디스크 앞/뒤 이중화 파티션 수 기본 4개(확장/논리 필요) 기본 128개(확장 가능) 용량 한계 보통 ~2TiB 제약 사실상 제약 없음(64비트 주소) 펌웨어 궁합 BIOS에 최적 UEFI 표준(현대 기본) 안정성/복구 한 지점 손상에 취약 이중화 + 무결성 검사 주 사용처 레거시 … 더 읽기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Windows Server 란? 3-2. 주요 용도(예시) 3-3. 에디션 별 차이 항목 Standard Datacenter 대상 일반 서버, 소규모~중규모 고가용성/가상화 대규모 가상화 권리 제한적 (통상 물리 호스트 1 라이선스로 최대 2개 VM 권리) 무제한 VM 권리 고급 기능 (예: S2D, SDN, Shielded VM 등) 일부 제한/미포함 포함 라이선스 방식 보통 코어 기반 + … 더 읽기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Bridge 란? 3-2. Bridge를 사용하는 이유 3-3. 구성 구조 4. Bond 인터페이스와 Bridge 연동 4-1. Bond0의 IP 설정 제거 4-2. Bridge 인터페이스(br0) 생성 및 고정 IP 설정 4-3. Bond0을 Bridge에 연결 4-4. 시스템 재부팅 5. 상태 확인 5-1. Bridge IP 확인 출력 예시: 5-2. Bridge 상태 확인 출력 … 더 읽기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Isolated 네트워크란? 3-2. Isolated 네트워크의 기술적 특징 항목 설명 forward mode none (외부 네트워크와 트래픽 전달 금지) 외부 통신 불가능 (인터넷, LAN 접속 차단) 내부 통신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VM 간 통신 가능 브리지 libvirt에서 가상 브리지 생성 IP 부여 DHCP 또는 static 설정으로 내부 IP 할당 4. Isolated … 더 읽기
1. 개요 2. 버전 3. 설명 3-1.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3-2. NAT의 종류 NAT 종류 설명 KVM에서 사용 여부 SNAT (출발지 NAT)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 때 출발지 IP를 변환 ✅ 기본 NAT 네트워크 DNAT (목적지 NAT)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때 목적지 IP를 변환 ❌ 추가 설정 필요 PAT (포트 주소 변환) 하나의 공용 IP에 … 더 읽기